운영체제 정리(3)

2020. 7. 6. 15:25System/Beginner

Chpater 5. 교착상태(Deadlock Resolution)

(1) Deadlock의 개념

1) Blocked/Asleep state:

    프로세스가 특정 이벤트를 기다리는 상태

    프로세스가 필요한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

2) Deadlock state:

   프로세스가 발생 가능성이 없는 이벤트를 기다리는 경우 --> 프로세스가 deadlock 상태에 있음

   시스템 내에 deadlock에 빠진 프로세스가 있는 경우 --> 시스템이 deadlock 상태에 있음

 

Deadlock vs Starvation

 

(2) 자원의 분류

1) 일반적 분류: Hardware resources vs Software resources

2) 다른 분류 법:

     - 선점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

     - 할당 단위에 따른 분류

     - 동시 사용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

     - 재사용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

 

1. 선점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: Preemptible resources(선점 당한 후, 돌아와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자원, Processor, memory 등) vs Non-preemptible resources(선점 당하면, 이후 진행에 문제가 발생하는 자원, Rollback, restart등 특별한 동작이 필요) E.g., disk, drive 등

 

'System > Beginn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가장 빨리 만나는 Docker 챕터 tutorial  (0) 2020.07.14
리눅스 커널(운영체제) 도움 사이트 링크  (0) 2020.07.10
Docker 설명 사이트  (0) 2020.07.09
운영체제 정리(2)  (0) 2020.07.01
운영체제 정리  (0) 2020.06.30